제페토 관련주 9종목
바야흐로 메타버스 시대다. 기업, 정부기관, 지자체 등이 메타버스를 도입하면서 현대인은 좋든 싫든 메타버스를 마주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문제는 메타버스의 정의조차 확립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그럼 우린 무엇으로 메타버스를 판단해야 할까. 더스쿠프(The SCOOP)가 메타버스의 옥석을 가리는 7가지 기준을 살펴봤습니다. 메타버스 분석업체의 대표 매튜 볼이 정립한 기준으로, 이를 통해 제페토와 싸이월드 메타버스의 수준도 분석했습니다.
메타버스가 미래의 먹거리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내로라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너나없이 메타버스를 차세대 핵심 기술로 삼고 있습니다. 대표 주자인 페이스북은 회사명까지 ‘메타’로 변경했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지난해에만 100억 달러 (약 11조9750억원)를 쏟아부었습니다. 애플도 메타버스 시장에 뛰어들 채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업계 안팎에서 애플이 가상현실(VR) 기기 출시를 앞두고 있다는 신호가 포착되고 있어서입니다.
이렇듯 메타버스는 ‘핫한 키워드’로 부상했지만, 메타버스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는 개념은 아직 존재하지 않습니다. 학자부터 정부 기관, 단체까지 메타버스를 저마다 다르게 해석하고 있어서입니다. 메타버스가 수많은 기술과 서비스를 아우르는 개념이기에 구체적으로 정의하기 어렵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견해입니다. 메타버스를 속 시원하게 정의할 순 없는 걸까. 명확하진 않지만 ‘이상적인 메타버스’가 무엇인지를 가늠할 방법은 있습니다. 미국의 메타버스 분석업체 ‘볼 메타버스 리서치 파트너스’의 대표 매튜 볼은 메타버스가 7가지의 특징을 갖춰야 한다는 내용의 에세이를 2020년 1월 공개한 바 있습니다.
그가 말하는 메타버스의 7가지 특징은 이렇다. ▲지속성: 사용자의 접속 여부와 상관없이 메타버스가 지속적으로 존재 ▲동시성: 많은 일들이 실시간으로 발생함 ▲무제한: 누구나 동시에 참여 가능 ▲경제권: 현실과 동일한 경제 시스템 확보 ▲초월성: 현실 세계와 온라인 공간을 연결 ▲상호운용성: 메타버스 플랫폼 간의 교류 가능 ▲콘텐츠: 개인과 기업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 등입니다. 이같은 7가지 특징을 두루 갖춘 서비스가 가장 이상적인 메타버스라는 게 그의 생각입니다.
이 에세이는 현재 메타버스 업계에선 ‘바이블’로 통합니다. 지난해 6월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세계 최초로 메타버스ETF(상장지수펀드)가 상장됐는데, 이때 뉴욕증권거래소가 벤치마킹한 게 매튜 볼이 개발한 지수(볼 메타버스 인덱스)였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 7가지 특징을 기준으로 삼았을 때 현재 서비스 중인 메타버스 중 어느 것이 이상적인 메타버스에 가까울까. 국내 메타버스 중 네이버의 자회사 네이버제트가 서비스하고 있는 ‘제페토’와 싸이월드제트의 ‘싸이월드 한컴타운(이하 싸이 한컴타운)’을 7가지 특징에 맞춰 분석해보자.
이 특징을 갖추려면 이용자가 접속하지 않아도 메타버스 속 가상의 공간이 계속 유지돼야 합니다. 제페토에는 ‘유령의집’ ‘한강공원’ ‘감옥탈출’ 등 네이버제트 측에서 제공하는 가상의 공간 ‘월드’가 존재합니다.
월드는 다양한 콘셉트를 기반으로 이용자들이 소통하고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곳으로, 모든 이용자가 로그아웃해도 ‘접속자 수 0명’인 채로 남아있습니다. 싸이 한컴타운도 ‘스퀘어’란 공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두 메타버스 모두 지속성은 갖춘 셈입니다.
다음은 ‘동시성’입니다. 여러 이벤트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느냐가 이 특징의 핵심입니다. 흥미롭게도 동시성은 메타버스와 게임을 구분하는 기준입니다. 가령, 대부분의 게임은 게임 속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고, 스토리 외 콘텐츠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반면 메타버스에선 현실이 그렇듯 수많은 일이 실시간으로 동시에 일어납니다.
이런 점에서 제페토와 싸이 한컴타운은 모두 동시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모든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 ‘오픈 월드’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입니다. 제페토의 경우, 가상의 공간인 ‘한강공원 월드’에서 이용자들은 보트를 타거나 편의점에서 라면을 먹는 등 아바타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모습을 다른 이용자가 사진으로 찍어주거나 동참할 수 있는 건 동시성 덕분입니다. 싸이 한컴타운도 제페토만큼의 수준은 아니지만 채팅이나 이모티콘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이용자들끼리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 필자가 자신있게 추천하는 TOP PICK 리스트 ★
NAVER(035420) :: 제페토 관련주
기업개요
- 국내 1위 인터넷 검색 포털 NAVER를 기반으로 서치플랫폼(검색 및 디스플레이 광고), 커머스(스마트스토어, 브랜드스토어 등), 핀테크(네이버페이) 등의 사업을 영위.
- 또한, 웹툰, Zepeto, V LIVE 등의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신사업으로 기업용 솔루션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분야에도 진출하였음.
- 2021년 5월 북미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를 인수하였으며, V LIVE와 하이브의 위버스 플랫폼을 통합하여 운영할 예정인 바, 플랫폼 강화를 통한 글로벌 인지도 향상 기대.
실적 및 분석
- 성과형 광고 호조에 따른 광고 부문의 성장, 커머스 부문의 사업영역 확장, 제휴처 확대에 따른 네이버페이 거래액 증가 등 전 부문의 고른 성장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신장.
- 영업비용 증가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하락, 금융수지 개선 및 지분법이익 증가, 대규모 중단영업이익 발생 등으로 순이익률은 큰 폭 상승.
- 광고 부문의 취급고 확대, 커머스 부문의 풀필먼트 서비스 강화, 웹툰 및 클라우드 부문의 본격적인 성장, 메타버스 부문의 글로벌 진출 등에 힘입어 매출 성장세 이어갈 전망.
와이제이엠게임즈(193250) :: 제페토 관련주
기업개요
- 코인형 및 실린더형 진동모터의 생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며, 중저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코인형 진동모터의 1차 공급업체임.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중국과 베트남에 현지법인을 통하여 진동모터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음.
- 또한, VR 관련 기업 엑셀러레이팅 업체인 서울엑스알스타트업스(주)와 VR 해외투자를 추진하는 미국, 일본 현지법인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
실적 및 분석
- VR 콘텐츠 수주 부진에도 스마트폰, 전자담배용 진동모터의 판매 호조, 모바일게임 흥행 지속에 따른 유료 아이템 판매 증가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큰 폭의 매출 성장 시현.
- 큰 폭의 매출 성장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손실 규모 축소, 금융수지 개선, 종속기업투자주식처분이익 발생 등으로 순손실 규모도 축소.
- 스마트폰 생산 증가에 따른 진동모터 수요 증가와 모바일게임 퍼블리싱 부문의 양호한 성장세 지속, 메타버스시장 진출 등에 힘입어 매출 성장세 이어갈 전망.
한빛소프트(047080) :: 제페토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1999년에 설립된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업체로 게임포털사이트인 한빛온(www.hanbiton.com)을 통해 온라인게임을 서비스 중임.
- 모바일게임 부문은 2013년 모바일게임 출시를 시작으로 LINE을 통해 일본 및 동남아시장에 진출하였으며, 글로벌포털사이트 T3FUN을 통해 해외서비스 중임.
- 모바일게임시장이 양호한 성장세를 지속함에 따라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향후 동사의 IP를 활용한 다양한 장르의 모바일게임을 출시할 계획임.
실적 및 분석
- 클럽오디션의 글로벌 진출 확대에도 기존 게임의 노후화, 신작 부재 등으로 게임 부문이 역성장하였으나 종속기업 한빛드론의 양호한 성장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신장.
- 원가구조 개선에도 지급수수료 증가 등에 따른 판관비 부담 확대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 적자전환, 투자부동산평가이익 감소 등으로 순이익률 큰 폭 하락.
- 메타버스 플랫폼 오디션 라이프 론칭, 오디션 IP를 활용한 웹툰 연재, 런데이 플랫폼의 콘텐츠 강화, 한빛드론의 양호한 성장으로 매출 성장세 이어갈 전망.
아이엠(101390) :: 제페토 관련주
기업개요
- 2006년 1월에 삼성전기(주)의 DVDP Pick-Up 등의 영업을 인수 받아 전자, 전기, 기계기구, 영상, 음향, 광원 응용기계기구 등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함.
- 주요 사업은 광모듈부품 사업이며, 기존의 Video제품 시장에서 Mobile 및 나노소재 시장까지 적용분야를 확대하고 있음.
- 연성동박적층판(FCCL), 발열유리용 면상발열 필름 개발과 함께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관련 핵심 기술을 확보하는 등 시장 내 경쟁력 강화 중.
실적 및 분석
- 필리핀 법인이 부진하였으나, 주력 광모듈 제품의 내수 판매가 크게 증가한 가운데 베트남 법인의 성장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 확대되었음.
-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파생금융상품평가이익 감소, 이자비용 증가 등 영업외수지 저하에도 법인세 감소로 순이익 역시 흑자전환.
- 글로벌 경기 개선과 전방 휴대폰 산업의 출하량 증가, 주요 고객사의 신제품 출시 영향으로 AF액추에이터 수주 증가하며 매출 성장세 지속할 듯.
선익시스템(171090) :: 제페토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1990년 OLED 디스플레이용 장비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7년 9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음.
- 주력제품은 OLED 디스플레이에서 발색, 발광 기능을 담당하는 유기재료를 증착하는 장비이며, Cluster type 증착장비와 Inline Type 증착장비로 구분됨.
- 주요 매출처는 삼성디스플레이, 덕산네오룩스, 두산솔루스 등 국내기업과 중화권 디스플레이 업체인 CSOT 등임.
실적 및 분석
- 전방 디스플레이 산업의 업황 개선에도 아시아향 증착장비의 수주 지연과 자회사 프라임엔지니어링의 부진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축소.
- 원가구조 저하와 경상연구개발비 증가 등 판관비 부담 가중으로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금융자산처분이익 발생 및 법인세비용 감소 등에도 순이익 적자전환.
-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중소형 OLED 투자 확대와 BOE의 마이크로 OLED 패널 상용화에 따른 관련 장비의 수요 증가, 양호한 수주잔고 확보 등으로 외형 성장 전망.
이랜텍(054210) :: 제페토 관련주
기업개요
- 배터리팩 제조기업으로, 주로 휴대폰 및 노트북용 배터리팩, 휴대폰용 케이스, 휴대폰용 충전기, 3D TV용 안경 등을 생산하고 있음.
- 국내 본사는 휴대폰용, ESS용 배터리팩을 주로 생산하며, 중국법인은 휴대폰용 배터리팩, 베트남법인은 휴대폰케이스 및 배터리팩 등을 생산함.
- 삼성전자와 삼성SDI를 통해 전체 매출의 90% 이상이 발생하는 바 주력 매출처에 대한 매출의존도가 높은 편임.
실적 및 분석
- 휴대폰 및 노트북용 배터리팩의 수주가 부진하였으나, 휴대폰 충전기 수주 증가와 전자담배 디바이스의 신규 매출 발생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성장.
- 매출 성장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외화환산손실, 재고자산폐기손실 감소 등 영업외수지 개선으로 순이익도 흑자전환.
- 전방 스마트폰 산업의 출하량 증가, 2차전지 배터리팩 ODM 생산 시작, LG전자향 ESS 배터리팩 라인 증설, 전자담배 디바이스 수요 증가 등으로 외형 성장 전망.
에스피지(058610) :: 제페토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정밀 제어용 모터 및 감속기 부품 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 영업목적으로 1991년 3월에 설립되어, 2002년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 동사는 표준 AC Motor, Condenser/Controller, DC motor, BLDC 모터류, 연장선 등을 국내외에 공급하고 있음.
- 주로 삼성전자, LG전자의 최첨단 PDP, LCD 라인 및 미국의 GE, Whirlpool 등의 가전제품 등에 모터를 공급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 글로벌 경기 회복세 및 산업자동화 부문의 투자 확대에 따른 모터와 감속기의 수주 호조, 가전용 BLDC모터의 판매 증가 등으로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신장.
- 매출 성장 및 지급수수료, 광고선전비 감소 등 판관비 부담 완화되며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 법인세비용 증가 등으로 순이익률은 소폭 상승에 그침.
- 현대차 인도네시아 라인향 대형 감속기, 북미 공작기계 업체향 특수감속기, 대만 IT고객사향 자동화용 감속기 등 신규수주 확보를 통해 외형 성장세 지속될 듯.
에스코넥(096630) :: 제페토 관련주
기업개요
- 휴대폰 내외장재 금속부품 제조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경기도 광주시에 본사를, 중국과 베트남에 생산법인을 두고 있음.
- 동사의 주력제품은 프레스물 형태의 휴대폰 내외장 금속부품이며, 주요 고객사인 삼성전자를 통해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하는 바 매출의존도가 높음.
- 중국의 동관삼영전자유한공사, 베트남의 S-Connect. BG VINA와 1차전지 제조업체인 아리셀, 이산화탄소 저감장치 제조업체인 에코하이테크를 종속기업으로 보유.
실적 및 분석
- 휴대폰 내외장재 부품 수주가 견조하게 이어졌으나, 종속기업인 커리어넷의 매각 결정으로 구직 서비스 부문의 매출이 제거되면서 전년동기대비 매출 감소.
-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손실 규모 전년동기대비 축소, 기타의대손상각비 기록, 이자비용 증가 등 영업외수지 저하에도 순손실 규모 역시 전년동기대비 축소.
- 글로벌 경기 개선과 전방 휴대폰 산업의 출하량 증가, 2차전지 산업의 성장세로 금속 부품 수요 증가, PCCU로 친환경 수소사업 진출하며 매출 성장 전망.
동운아나텍(094170) :: 제페토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전자직접회로 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동운인터내셔널에서 2006년 7월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어 AF구동칩과 모바일 디스플레이 전원 IC를 생산하여 판매.
- 휴대폰 카메라 작동 시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해 주는 AF구동칩과 모바일 디스플레이 전원 IC 등 반도체를 개발하여 외주 업체에서 제작, 스마트폰 제조업체 1차 협력사에 공급.
- 중국을 포함한 세계 AF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HD Haptic Driver 적용 확대, 지문인식 신규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실적 및 분석
- 글로벌 경기 회복세 및 전방 스마트폰 산업의 출하량 증가에 따른 AF와 OIS Driver IC의 국내외 수주 호조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확대.
- 주식보상비용, 경상연구개발비 증가 등 판관비 부담 가중되며 영업손실 규모 전년동기대비 확대, 그러나 기타수지 개선 및 법인세환급 등으로 순손실 규모는 축소.
- 중화권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OIS Driver IC 수요 증가세와 애플향 AF Driver IC 공급 추진, 차량용 3D 제스처 시장 진출 등으로 외형 성장 전망.
★ 필자가 자신있게 추천하는 TOP PICK 리스트 ★로봇 관련주 대장주 7종목
로봇 관련주 대장주 7종목 로봇이 사람 대체... 제조업 구인 6.7%p↓ 근로자 1000명당 로봇이 2.318대(중간값) 증가한 지역은 그렇지 않은 곳보다 제조업과 단순 반복적 직종에서 구인 증가율을 각각
kospiinvestingguide.technorian.co.kr
여행 관련주 6종목
여행 관련주 6종목 중고나라는 자사 개인 간 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작년 코로나19 이후 여행 관련 상품 거래가 '국내 숙박권 중심'으로 변화했으며 해외여행을 위한 입장권, 숙박권 상품 관
kospiinvestingguide.technorian.co.kr
차량용반도체 관련주 대장주 TOP 14
차량용반도체 관련주 대장주 TOP 14 삼성·SK, 반도체 초격차 ‘최고 속도·최대 용량’으로 이어간다 삼성, 가장 세밀한 14나노급 D램 선보여 자동차 SSD·메모리도 격차 벌려 SK하이닉스, DDR5 이어
kospiinvestingguide.technorian.co.kr
폐배터리 관련주 대장주 6종목
폐배터리 관련주 대장주 6종목 치솟는 원자재값…기업에 정부까지 ‘폐배터리’ 올인 친환경 전기차 시장 성장에 국제 원자재 가격까지 급등하며 이차전지(배터리) 재활용 시장에 기업뿐만 아
kospiinvestingguide.technorian.co.kr
LFP배터리 관련주 9종목
LFP배터리 관련주 9종목 'LFP 배터리' 앞세운 中 폭풍 성장세에 국내 배터리사 '주춤' 중국 배터리사 CATL과 BYD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앞세워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kospiinvestingguide.technorian.co.kr
메타버스주 TOP 12 정리
메타버스주 TOP 12 정리 메타버스 개발 경쟁 격화 속 선두업체들의 인재 쟁탈전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의 증강현실(AR)팀 직원 15
kospiinvestingguide.technorian.co.kr
자율주행 관련주 TOP 10
자율주행 관련주 TOP 10 자동차업계는 최근 폐막한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기(IT) 전시회 ‘CES 2022’에서 자율주행과 관련한 첨단 기술을 앞다퉈 선보였습니다. 특히 라이다와 시뮬레이션 등 자율
kospiinvestingguide.technorian.co.kr